조명의 목적, 시환경, 조명계획, 시환경의 체계화
조명의 목적과 시환경 조명의 목적은 시각을 통해서 각종 행위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기분 좋게 할 수 있도록 명시성, 쾌적성, 안전성, 환경의 연출성 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시각을 통해서 인식되는 환경을 '시환경'이라고 하며, 환경 중에서도 추론이나 판단 등의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경관이 감동을 줄 수 있도록 오성적으로나 감성적으로 사람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시환경에 있어서 보이는 각종 대상을 '시대상'이라고 합니다. 시대상에는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태양, 인공 광원, 발광형의 디스플레이나 사인과 같은 '발광면'과 풍경이나 인테리어나 물체 등과 같이 이것들에 광이 닿음으로써 그 반사된 광이 보이는 '피조면'이 있습니다. 이들 면에서 방사되고 있는 광의 분포 상태를 '광환경'이라고 합니다. 광..
조명 기구의 설계, 조명의 목적, 조명 환경
조명 기구 설계의 일반적 사항 조명 기구 설계자는 사용 목적, 사용 환경, 사용 광원 등 많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조명 기구의 설계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목적에 대응한 배광으로 하기 위한 광학 설계를 해야 하며, 광원에 전기 공급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하기 위한 전기 설계와 배선 설계가 되어야 합니다. 광원의 유지나 보호, 기구 설치 구조나 강도, 열, 내후성, 내광성 등의 기구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기계 설계나 열 설계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기구 효율 기구 효율은 일반적으로 광학 설계와 재료 선정으로 결정됩니다. 에너지 절약화에 대응한 기구 효율의 향상과 자원 절감화에 대응한 기구의 소형화와 박형화에는 반사율이 90%를 넘는 백색 도료, 알루미늄 표면에 여러 겹의 박막을 시설한 증반사 알루미늄재, ..
색의 분류, 색의 속성, 색의 특성, 빛과 색의 심리적 효과
색의 분류 어느 정도 이상의 밝은 빛이 눈에 들어오면 어떤 색을 느끼게 됩니다. 자체에서 빛을 발산하는 물체의 색을 광원색이라고 하고, 외부로부터 빛을 받아서 나타내는 색을 물체색이라고 합니다. 감각적으로 붉고 푸른 느낌의 색상과 밝고 어두운 느낌의 명도, 선명하고 흐릿한 느낌의 채도 등의 세 가지 속성을 색은 가지고 있습니다. 먼셀에 의하여 색상, 명도, 채도를 감각적인 등간격으로 표현한 것을 먼셀색표계라 합니다. 이것은 표면색을 감각과 관련시켜 표시하는 데 적당합니다. 명도는 완전한 흑색을 0, 완전한 백색을 10으로 하여 단계로 표시하고, 색상은 적색 R, 황적색 YR, 황색 Y, 황록색 GY, 녹색 G, 청록색 BG, 청색 B, 청자색 PB, 자색 P, 적자색 RP 등을 각각 등간격으로 1부터 1..